1. 신체생리모델은 의료적 모델의 일종으로써, 정서행동장애아동은 기질적 또는 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아동을 의미한다.
첫째, 감각-운동적, 신체적 발달, 지적 발달에 상응하는 비율로 학습하지 못한다.
둘째, 평범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셋째, 충동적 반응과 과잉 행동적 반응으로부터 우울, 위축까지 다양한 과잉 행동을 나타낸다.
넷째,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유지하지 못한다.
신체생리 모델은 정서행동장애에 대해 다양한 원인을 보고 있다.
우선 유전적 요인이 있다. 이는 인간의 행동이 유전자와 그 변형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는 것이다.
생화학적 혹은 신경학적 요인에 대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전달물질연구에서는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세로토닌과 혈소판의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하지만 이 두 수치의 차이가 정서행동장애아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 한다고 한다.
둘째, 유기체 원인이 있다. 지금까지 우울증, 정신분열증, 자폐증에 대한 다양한 유기체 원인론이 제안되어 왔다. 이에 연구자들은 다양한 자료에 근거하여 자폐증과 정신분열증이 유기체 원인의 증거가 있다고 믿는다.
셋째, 신진대사 요인이 있다. 자폐증, 심한 장애아와 성인, 정신분열증을 갖고있는 이들은 심각한 비타민 결핍을 겪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이들의 행동이 식이요법을 통해 개선되는 것을 보았다.
셋째, 기질 요인이 있다. 기질은 선천적이지만 환경의 영향도 함께 받는다. 한 연구에서 영아기부터 성인기까지를 추적하여 기질의 9가지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65%에서 기질의 세 가지 형태가 드러났음을 밝혔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기질은 활동성, 사회성, 정서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이 제시되었다. 기질에 관한 모델은 다른 모델들보다 미래의 행동을 정확히 예견하는 것이 어렵지만 많은 연구자는 개인이 적응성이나 강도와 같은 어떤 경향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에 동의한다.
생체생리모델에서 정서행동장애아동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우선 발달사 측면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발달사를 통해 평가하는 입장이다. 유전적 문제,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어떠한 의료적 상태로 인하여 문제 행동을 나타내는 학생을 평가하는데 있어 광범위한 발달사가 반드시 고려된다. 이는 출생 전과 신체·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 건강 상태 등 다양한 측면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신경학적 평가는 장애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신체·생리학적 측면을 본다는 입장이다. The Halstead-Reitan Battery, Luria Neuropsychological Investigation가 있다.
2. 심리역동모델은 정서적 미성숙으로 인해 정서행동장애가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각 단계에서 완성하지 못한 과제가 불안의 요소로 무의식 중에 남게 되고 시간이 흘러 이 불안요소가 터져버리는 것이 정서행동장애로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다. 이 모델의 이론적 기반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견해가 있고 로저스와 매슬로우의 인본주의 견해가 있다.
심리역동모델에서 보는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심리와 내적 갈등의 미해결이다.
둘째, 자아와 초자아, 원초아의 부조화로 인한 방어기제의 과도한 사용이다.
셋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되는 갈등과 불안이다. 이는 자신의 견해와 사회적 가치와의 갈등을 의미한다.
넷재, 자신이 처한 발달단계에서의 위기 해결의 실패이다.
심리역동모델에서 정서행동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우선, 프로이드의 이론에 기초하여 투사법을 시행한다. 하지만 이는 주관적 해석의 가능성이 있고 낮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다. 다음으로 자기보고식 검사가 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보느냐를 검사하는 것이다. 자기보고식 검사에는 심리치료, 현실치료, 집단중재, 환경치료, 생활공간 면접, 정서교육이 있다.
<참고문헌>
정서 및 행동장애 – 신체 생리학적 모델 요약복, 김혜지, 2012, https://www.joongbu.ac.kr/board.es?mid=f10504000000&bid=0166&list_no=238614&act=view
정서행동장애:장애를 바라보는 관점, 워니니, 2020,https://chang12s-world.tistory.com/49
정서행동장애 5모델 비교, 장윤경, 2011, https://m.cafe.daum.net/isarang2009/LN6L/2?svc=cafeapi
'척척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이란 (5) | 2024.09.01 |
---|---|
지적장애아동의 심리 및 사회적 특성, 행동적 특성과 이를 고려한 지도 방법 (4) | 2024.08.30 |
과잉행동과 분리불안장애를 가진 영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영유아 교수방법 (0) | 2024.08.27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교수 단계 6가지와 자폐장애아동에게 적용 시 기대되는 효과 및 단점을 서술하시오. (0) | 2024.08.26 |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을 자세히 설명하고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2)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