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운론
음운론이란 한 언어 내에서 사용되는 말소리의 기능과 체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음운론은 음성학과 음운론으로 나뉘는데, 음성학은 의미와 상관없이 소리가 어디에서 산출되는가에 대하 특성을 다룬다. 반면에 음운론은 소리가 어떤 체계와 기능을 갖느냐를 다루고 있다. 음성학은 음성을 기본단위로 하고, 음운론은 음소를 기본단위로 한다. 음소란 소리 변별의 최소 단위로써, 자음과 모음을 말한다. 음소는 각각 분리되어서는 의미가 없으며 다른 음소들과 결합될 때만이 의미를 가진다.
2. 형태론
형태론이란 한 언어에서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낱말을 형성하는 체계 또는 규칙을 말한다. 즉, 단어를 구성하는 규칙이다. 형태론의 기본단위인 형태소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의미의 최소단위이다. 형태소가 가지고 있는 의미 유무에 따라 어휘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휘 형태소와 문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문법 형태소로 나뉠 수 있다. 또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형태소가 문장에서 독립된 단어로 사용할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형태소에 부착되어야만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어제 사과를 먹었다.’라는 문장에서 자립 형태소는 나, 어제, 사과가 된다. 어휘 형태소는 ‘나’, ‘어제’, ‘사과’, ‘먹’이 된다. 의존 형태소는 ‘는’, ‘를’, ‘먹’, ‘었’, ‘다’가 된다. 문법 형태소는 ‘는’, ‘를’, ‘었’, ‘다’가 된다.
3. 통사론
통사론이란 낱말의 배열에 의하여 구, 절, 문장을 형성하는 체계 또는 규칙을 말한다. 구란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문장 성분을 이루지만 자체 내에 주어와 서술어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반면에 절이란 주어와 서술어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독립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장과 구별된다. 통사론은 언어의 형식적인 측면을 의미하는데,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자체보다는 그 내용을 어떠한 낱말구조 또는 문장구조 속에 담아서 전달하고 있는가 하는 측면이다. 예를 들어, ‘사과이 먹었다.’라는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가 잘 갖춰진 문장이지만, 통사론적으로 틀린 문장이 된다. 문장 내 단어의 배열은 정해진 규칙이 있고, 이 규칙은 나라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한국어는 ‘나는 밥을 먹었다.’인 주어+목적어+서술어로 이루어지지만, 영어는 ‘I had a meal.’인 주어+동사+목적어 순으로 이루어진다.
4. 의미론
의미론이란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로서 말의 이해 및 해석에 관한 영역이다. 의미론의 주성분은 단어이고, 단어란 문법상의 뜻과 기능을 가진 최소단위를 말한다. 단어는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먹다’의 중심적 의미는 음식 따위를 입을 통하여 배 속에 들여보내는 것이다. 하지만 ‘욕을 먹다’에서 욕은 음식 등의 물리적인 것이 아니기에 여기에서 ‘먹다’는 전이적 의미가 된다. 또한, 단어는 단의어와 다의어 그리고 동음이의어로 구분된다. 단의어는 한 개의 단어에 하나의 의미가 관련된 단어이고, 다의어는 사전에서는 같은 단어로 취급하지만 하나의 단어가 의미적으로 관련된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을 때 그 단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동음이의어란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의 연관성이 떨어지고 어원이 동일하지 않아 별개의 단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배’의 경우, 사람의 신체가 되기도 하고, 물 위를 떠다니는 탈것이 되기도 하고 나무의 열매가 되기도 한다.
5. 화용론
화용론이란 실제 상황적 맥락에서 화자와 청자에 의해 쓰이는 말의 기능이다. 화용론의 주 성분은 담화이고, 이는 넓은 의미에서는 실제 사용되는 모든 대화, 모든 의사소통 행위를 포함한다. 이는 의사소통적 맥락에서 언어사용과 관련된 사회언어학적 규칙으로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가를 고려하는 것이다. 화용론은 직시, 전제, 함축, 화행, 대화체 구성의 내용을 갖는다. 직시란 가리키고 지시하는 것으로 인칭대명서, 지시대명서, 장소부사, 시간부사 등이 포함된다. 전제란 발화된 문장에 부수적으로 전달되는 의미를 말한다. 담화에는 많은 성분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럼에도 담화가 가능한 것은 장면이나 맥락의 도움을 받기 때문이다. 함축은 구체적인 언어표현이나 명시적이고 직접적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전달되는 의미를 말한다. 화행은 발화를 통해 행동이 수반되는 것을 말한다. 대화체 구성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제3자의 말을 인용하거나 행동을 전달할 때 새로운 대화체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Ⅳ. 참고문헌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17
고은,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학지사, 2016
심현섭 외,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학지사, 2017
임미선・박성희, 유아임용 공립 유치원 임용 시험 대비 유아교육과정2, 공동체, 2021
'척척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교수 단계 6가지와 자폐장애아동에게 적용 시 기대되는 효과 및 단점을 서술하시오. (0) | 2024.08.26 |
---|---|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을 자세히 설명하고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2) | 2024.08.26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0) | 2024.07.31 |
매슬로우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0) | 2024.07.28 |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사업내용과 차이점 (0) | 2024.07.27 |